전체 글 22

방송·통신 융합(DMB)

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는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최초의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손 안의 TV’라 불린다. DMB는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또는 휴대용ㆍ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며, 이동 중에도 휴대전화ㆍ스마트폰 등을 통해 CDㆍDVD급의 고음질ㆍ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다. 디지털 라디오방송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위성DMB와 지상파DMB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2월 Eureka-147 기반의 지상파 DMB 개념을 정의하고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DAB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면서 이를 2003년부터 DMB(Digi..

방송기술 2023.03.19

데이터방송

데이터방송은 영상, 음성 등 방송프로그램에 별도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서비스로 방송에 양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이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부는 데이터방송의 도입을 위해 2000년 3월에 데이터방송표준전담반을 구성하여 데이터방송과 관련된 표준방식 결정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2000년 11월 데이터방송표준전담반은 공청회를 거쳐 국내표준으로 지상파 분야에 미국 ATSC의 DASE(DTV Application S/W Environment), 위성방송 분야에 유럽 DVB의 MHP(Multimedia Home Platform) 방식을 잠정표준안으로 마련하여 정부에 건의하였으며, 2001년 3월 28일에 임시기술기준을 고시하였다. 국내 데이터방송 서비스는 1990년대 후반 단..

방송기술 2023.03.18

디지털 위성방송

1993년 정보통신부는 위성방송의 전송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결정하고 디지털 위성방송 도입에 시동을 걸었다. 1995년에는 한국통신이 무궁화 1호 위성을 발사하였으며, 1996년에 정보통신부는 디지털 위성방송 기술기준 제정 등 위성방송 도입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위성방송의 도입이 계속 지연되는 상황에서 정보통신부는 1996년 KBS 2채널을 시작으로 1997년에 EBS 2채널, 1999년에 방송대 1채널 등 총 5채널의 시험방송을 실시하면서 위성방송 도입에 대비하였다. 특히 KBS의 위성방송은 세계 최초로 방송위성(BS)을 사용하고 미국 디렉TV, 일본 퍼펙TV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디지털 전송방식이 결합된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위성방송을 위한 통합방송법은 1999년 12월에 ..

방송기술 2023.03.17

디지털 케이블 TV방송(디지털 전환)

1. 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 디지털 케이블방송은 HFC(Hybrid Fiber Cable) 전송망을 통하여 영상과 음성의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VOD(Video On Demand) 및 데이터방송과 같은 양방향 부가서비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인터넷 및 인터넷 전화와 결합하여 다양한 융합형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케이블 방송은 1995년 아날로그 케이블방송 서비스를 위해 구축된 HFC 망을 기반으로 방송 및 가입자 망의 고도화를 통하여 2000년부터 고속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정부는 고도의 양방향 서비스제공 및 유선방송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1999년부터 케이블 TV의 디지털화를 적극 추진해왔다. 2000년 4월부터 산·학·연 전문가들을 ..

방송기술 2023.03.16

지상파 DTV 방송(디지털 전환)

1. 지상파 TV방송의 디지털 전환 디지털전환은 아날로그 TV방송을 종료(ASO, Analog Switch OFF) 하고 방송의 제작·송출·송신·수신 등의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여 디지털TV 방송만을 방송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방송의 디지털화에 대비하여 산·학·연·관 공동으로 HDTV 기술개발을 추진하였지만 국내 지상파 TV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1997년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97년 2월 정보통신부는 2001년부터 본방송을 개시하되 기존 아날로그 방송은 2010년까지 디지털TV로 전환을 완료한다는 기본방침을 결정하였다. 1997년 3월에 방송사, 산업체 및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들이 모여 ‘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방송표준에 대한 검토를 시작하고 ..

방송기술 2023.03.14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전환

라디오 방송이 처음 시작된 이래 100여년이 지났다 할지라도 가장 인기 있는 변조시스템은 아날로그 타입으로 남아있는데 초기의 실험 라디오와 매우 유사한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의 신호는 TV와 FM방송의 반송파와 주파수 사이에 디지털 변조된 신호이다. 디지털 방송의 이러한 제한된 레벨은 1985년 이래 TV 다중화(Teletext) 특성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Teletext 신호는 TV신호의 수직귀선시간 동안 진폭 변조된 디지털신호로 송신된다. 오디오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완전 디지털 방송 신호 연구는 1980년대 중반에 유럽에서 시작된 Eureka-147 프로젝트이다. TV방송 분야에서는 1980년대 후반 DigiCipher(미국에서 발전된 동영상시스템)와 MPEG(Moving Picture Expert..

방송기술 2023.03.12

인생의 7가지 법칙 (7 rules of life)

1. 그냥 가게 두어라. (Let it go.) - 나쁜 어제를 생각하는 것으로 좋은 하루를 망치지 말아라. (Never ruin a good day by thinking about a bad yesterday.) 2. 무시하라. (Ignore them.) - 다른 사람들이 하는 얘기를 듣지 말아라. (Don't listen to other people.) - 당신에게 힘을 북돋아주는 인생을 살아라. (Live a life that's empowering to you.) 3. 시간을 주어라. (Give it time.) - 시간은 모든 것을 치유한다. (Time heals everything.) 4. 비교하지 마라. (Don't compare.) - 당신이 이기려고 노력해야 하는 유일한 사람은 어제의 당..

여행 2023.03.10

지상파에서 위성방송으로 전환

위성방송은 적도 상공 약 3만 6,000km 궤도상에 있는 정지위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위성방송은 방송위성을 이용해 텔레비전 방송을 하는 DBS(직접위성방송), 통신위성의 채널을 이용해 케이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중계하는 SCN (Space Cable Net)서비스, 통신위성의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직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CSTV(Communication Satellite Television, 유료방송)의 3종류가 있다. 위성방송은 1957년 사상 최초로 소련이 인공위성 스푸트니크(Sputnik)호 발사에 성공한 이후 동서 양 진영이 경쟁적으로 발전시킨 통신위성 기술로부터 시작되었다. 1962년 미국 AT&T의 Telstar 위성이 서비스를 개시하였을 때, 자신의 집에서 편안하게 전 세계 어느..

방송기술 2023.03.09

라디오에서 텔레비전으로 전환

1. TV 등장 배경 1839년 은판사진술 발명( 그 뒤 청사진을 환등기에 비쳐 보임으로 그림의 연속적 환영이 나타나는 것 알게 됨). 1894년 니코브 (Nipkow) 주사 디스크 (Scanning Disk) 발견(어떤 대상이 비쳐져서 그 물체의 내용과 이미지를 셀레늄 광전지에 의해 전기신호로 바꾸는 장치) 1930년대 여러 나라에서 텔레비전 정규방송이 시작되었는데, 1936년 11월 2일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텔레비젼 방송이 실현되었다. 1954년 미국에서 NTSC 방식으로 컬러 방송을 시작하였고, 1967년 영국과 독일 PAL 방식, 1967년 프랑스에서 개발한 SECAM 방식의 컬러방송이 공산권과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다. 2. 초기 흑백TV 자신의 집에서 원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된 계기는 사람들의..

방송기술 2023.03.08

근대미디어의 대표주자 ‘라디오’

1900년대에 무선통신, 1910년대에 무선라디오, 1920년대에 라디오방송으로 점차 발전하였다. 1930년대에는 미국 및 유럽의 여러 나라, 일본에서도 라디오가 일상화되었다. 자본주의적 상업성이 강한 미국 라디오 방송과 국민주의적인 전체성에 기반을 둔 독일 라디오 방송, 군국주의적 정책성이 두드러졌던 일본 라디오 방송은 같은 기술에 기초한 다른 문화를 보여 주었다. 다음은 1890년대 무선통신의 등장부터 최근까지 발전방향을 연도별로 나타내었다. (출처: 영월 라디오스타 박물관 일부) 1894 니콜라 테슬라가 최초로 무선통신 실현 1895 마르코니의 무선통신기 발명으로 무선라디오 등장 1906. 미국, 드포리스트의 3극 진공관 발명으로 라디오 방송 가능 미국, 오션블러프-브렌트룩의 웨스팅하우스의 엔지니어..

방송기술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