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에 무선통신, 1910년대에 무선라디오, 1920년대에 라디오방송으로 점차 발전하였다. 1930년대에는 미국 및 유럽의 여러 나라, 일본에서도 라디오가 일상화되었다. 자본주의적 상업성이 강한 미국 라디오 방송과 국민주의적인 전체성에 기반을 둔 독일 라디오 방송, 군국주의적 정책성이 두드러졌던 일본 라디오 방송은 같은 기술에 기초한 다른 문화를 보여 주었다.
다음은 1890년대 무선통신의 등장부터 최근까지 발전방향을 연도별로 나타내었다.
(출처: 영월 라디오스타 박물관 일부)
1894 니콜라 테슬라가 최초로 무선통신 실현
1895 마르코니의 무선통신기 발명으로 무선라디오 등장
1906. 미국, 드포리스트의 3극 진공관 발명으로 라디오 방송 가능
미국, 오션블러프-브렌트룩의 웨스팅하우스의 엔지니어들이 최초의 라디오 프로그램 방송
1912 타이타닉호 침몰사건으로 무선통신의 필요성 부각
미국, 라디오법 의회 통과
미국, 해군에 의해 방송(broadcasting) 용어 최초 사용
1915 한국, 최초의 무선설비 송수신 시험
1919 영국, 에식스 주의 첼름스퍼드와 아일랜드 사이 대서양을 가로지른 방송이 성공하여 1920년 군사적 이유로 금지될 때까지 하루 30분 정규프로그램 방송
1920 미국, 워싱턴 해군비행장에서 군악대 연주방송 세계 최초로 방송전파 발사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세계 최초의 정규편성을 갖는 호출부호 (Call Sign) ‘8MK’의 라디오 뉴스방송 시작
1921 프랑스, 국영방송 방송개시
1922 미국, 장거리 유선 전화선으로 뉴욕과 시카고의 방송국을 연결하여 풋볼 시합 중계방송
영국, 영국방송회사 BBC가 설립되어 최초의 뉴스방송 시작
1923 독일방송회사 방송개시
1925 일본, 동경방송국 개국
한국, 체신국 구내에서 출력 50W로 무선방송 시험 실시
1926 미국, 내셔널방송회사(NBC)는 뉴욕시의 WEAF를 구입해 방송 본국으로 사용하고, 영구 방송망을 설립해 일상 프로그램을 송신
1927 미국, 의회에서 무선통신법을 제정해 독점 금지 및 연방통신위원회(FCC) 설립하여 방송국에 주파수를 할당
미국, CBS의 전신인 UB 설립
미국, 새로운 라디오법 개정
영국, 영국방송회사 면허 종료 후, 영국방송공사 BBC 출범
한국, 조선총독부 산하 경성방송국(JODK)에서 주파수 690㎑, 최초의 정규 라디오 방송 송출 (일본어 방송 주)
1928 텔레비전 방송 시작
1932 한국, JODK를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로 명칭 변경
1933 미국, 암스트롱이 FM 기술 개발
한국, 일본어 제1방송국 조선어 제2방송국으로 분리 식민성 구축 및 근대 문물 방송
1935 독일, 세계 최초로 텔레비전 방송 시작
한국, 지방방송국 개국-부산·평양·청진·함흥·대구·강릉·청주
1938 미국, 암스트롱이 최초의 FM 라디오 방송국, W1XOJ(현 WAAF)을 설립
1945 한국, 방송국이 미군정청 공보부로 이관
1947 한국, 국영 서울중앙방송국(호출부호·HLKA)으로 재출범
트랜지스터 발명으로 라디오 청취의 개별화
1948 한국, 정부가 수립되어 한국방송(KBS)으로 개명하여 공보부 산하의 독립 기관으로 개국
1949 서독, FM 시험방송 개시
1954 한국, 기독교 중앙방송국(CBS)이 840㎑ 로 개국
1956 한국, 복음주의방송국(HLKX)이 개국하여 1967년 극동방송국으로 개명
1959 한국, 금성사 라디오 최초 자체 생산
1961 한국, 문화방송(MBC)이 900㎑로 개국
미국, 스테레오 방송 시작
1963 한국, 동아방송(DBS)가 1,230㎑로 개국
1964 한국, 라디오서울 1,380㎑로 개국하여 1966년 동아방송(TBC)로 개명
1965 한국, 서울 FM방송국 89.1㎒로 개국
1966 한국, FM 겸용 라디오 등장
1970 한국, FM 스테레오 방송 시작, 스테레오 라디오 등장
1985 한국, AM방송을 좌우 채널로 분리해 스테레오 효과 창출
1988 독일, 디지털오디오방송(DAB) 전송
1993 한국, 먼 곳의 방송을 들을 수 있는 단파라디오는 북한의 대남방송으로 시판이 금지되었다가 허용됨
1995 영국, 웹 라디오방송 시작
영국, 최초 디지털오디오방송(DAB) 방송 시작
1996 영국, 라디오 인터넷 스트리밍 시작
2000 한국, 인터넷을 통한 라디오방송국 청취 가능
2001 한국, 팟케스트(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등장
2005 한국,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실시로 라디오의 디지털화
2006 한국, 보이는 라디오 시작
2012 한국, 기존의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방송의 디지털 전환 실시 완료
2018 한국, 스마트폰내 FM라디오 기능 활성화
2020 한국, CBS가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체와 협력해 공중파와 인터넷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디오' 서비스를 국내 방송사 중 최초로 개시
'방송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전환 (0) | 2023.03.12 |
---|---|
지상파에서 위성방송으로 전환 (0) | 2023.03.09 |
라디오에서 텔레비전으로 전환 (0) | 2023.03.08 |
라디오 방송 (0) | 2023.01.19 |
무선전파와 방송 (1) | 2022.12.09 |